출생신고서 열람 온라인 발급방법과 준비물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해 생활기록부 열람이 유행에 이어 최근 출생신고서 열람이 유행인데요. 셀프분석을 즐기는 MZ세대를 중심으로 SNS에 공유하는 트렌드가 지속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학창 시절 생활기록부는 정부 24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열람할 수 있는데요. 실제 지난해 생활기록부를 열람하는 사람들로 인해 정부 24 홈페이지 서버가 마비되기도 하였다죠? 오늘은 출생신고서 열람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생신고서 열람 발급방법 절차
출생신고서를 열람 하게 되면 젋었던 부모님 손으로 출생신고 했을 때의 긴장과 설렘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30세 전까지만 볼 수 있다고 알려지면서 20대 MZ세대들이 전국 법원에 몰리고 있는데요.
아이가 태어나면 보통 부모가 신생아의 이름과 주소, 출생시간등을 출생신고서에 직접 작성하여 동사무소에 제출하게 됩니다. 이를 법원이 신생아가 30세 될때 까지만 보관하게 되어있어 본인이 29세라면 열람 가능한 시간이 얼마 안 남았다고 보면 되는데요.
즉. 1995년생이후 출생자들은 출생신고서 열람 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없다고 보면 되며 내년 3월에 폐기되니 만약 열람하기를 원한다면 끝까지 확인 후 발급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특히 보통 태어난 시간을 정확히 모르는 분들도 많은데요. 출생신고서는 아이 이름과 성별, 정확한 출생날짜와 시간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2022년에 법이 바뀌면서 출생신고서 보존기간을 만 27세에서 만 30세로 늘어나긴 했는데요.
출생신고서 열람 발급방법
출생신고서를 열람하거나 발급하기위해서는 해당기관에 방문하거나 온라인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보통 출생신고서는 주민등록을 담당하는 구청과 동사무소에서 관리하며, 각 지역마다 관할기관이 다를 수도 있으니 거주하는 지역의 구청 또는 주민센터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해당기관의 웹사이트를 접속하여 온라인 발급서비스가 제공되는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 해당기관방문
- 온라인 신청발급
출생신고서 열람 발급방법 절차
출생신고서 열람 발급방법에 있어서 먼저 기본증명서(상세) 서류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이는 등록기준지 주소를 확인하는 거로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에 접속하여 발급할 수 있습니다.
- 기본증명서(상세) 발급 :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접속- 기본증명서 - 발급대상자, 증명서종류,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 신청하기
- 등록 기준지확인하여 법원 체크- 대법원 홈페이지 관할법원 찾기 - 법원민원실 방문
- 법원 가기 전 준비물: 기본증명서 와 신분증
기본증명서를 발급받은 다음 법원민원실에 준비물을 챙겨 방문하여 신청서를 작성하고 가져간 준비물 서류를 제출하면 출생신고서를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출생신고서 열람 발급방법 주의사항
출생신고서를 발급할 때는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먼저 온라인 대상을 확인해야 하는데요. 2008년 이전 출생자의 경우 온라인 제한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입양 친자관계 변경등의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직접방문이며, 외국에서 출생한 경우 추가제출이 요구됩니다.
온라인 열람 발급 가능?
일부 사람들이 온라인 열람 발급이 가능하다는 게 보이는데요. 정부 24에서 확인을 해본 결과 불가능합니다. 출생신고서는 개인정보가 담긴 문서이기 때문에 보안상의 이유로 온라인발급을 막아놓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준비서류만 온라인 발급이 가능하고 관할 법원에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꿀팁
방문 전에 보관여부를 미리 체크할 수 있는데요. 실제 스캔본만 있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법원마다 처리방식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므로 미리 확인하여 시간을 절약하도록 합니다.
수령방법의 경우 모바일 팩스 또는 등기우편도 가능한데요. 등기우편의 경우 비용은 약 4천 원 정도이며 당연히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법원마다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30년이 되지 않아도 미리 폐기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전화로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원본 대신 스캔본만 보관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부분도 꼭 확인하도록 합니다.
마무리
출생신고서는 부모님의 손글씨로 쓰인 정성이 담긴 역사적인 문서이기도 하며 자신의 이름과 태어난 시간 모든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SNS에서 출생신고서 챌린지가 도는 만큼 필수코스가 되기도 했습니다. 추후 폐기가 되기 때문에 복사본 또는 스캔본이라도 간직해 둔다면 좋은 추억이 될 것입니다.
2025.02.13 - [분류 전체보기] - 혼인신고 하는법 준비물 증인 혼자 서류 어떤게 있나